이용자 유형/조건별 차이
Q. 법인 vs 개인 장기렌트 차이
법인 vs 개인 장기렌트
-
법인
비용처리 : O
보험 범위 : 유연함
회계처리 : 간편 -
개인
비용처리 : X
보험 범위 : 제한적
회계처리 : 해당없음
목적에 따라 명확히 구분해서 선택!

장기렌트는 법인 고객과 개인 고객 모두 이용 가능하지만, 계약 목적, 세무 처리, 비용 구조 등에서 큰 차이가 존재합니다.
실제 운용 전략과 절세 목적에 따라 선택 기준이 달라지므로 아래와 같이 비교해보셔야 합니다.

구분 | 법인 장기렌트 | 개인 장기렌트 |
---|---|---|
차량 소유 명의 | 렌트사 | 렌트사 |
세금계산서 발급 | 가능 (부가세 별도) | 불가 (현금영수증 또는 카드 결제) |
비용처리 가능 여부 | 비용처리 가능 (임차료 전액, 감가상각 불필요) | 불가 (세금공제 대상 아님) |
세무상 혜택 | 감가상각 없이 전액 손비 처리 → 법인세 절감 | 혜택 없음 |
보험 가입 | 사업자용 보험 기준 (다수 운전자 가능) | 개인 기준 보험 (운전자 제한 조건 있음) |
렌트료 구성 | 부가세 별도 계산 | 부가세 포함 금액 |
계약 목적 | 업무용 차량 운영 (임직원 공유 가능) | 개인 이동 수단 |
보증금 조건이 있어도 총액이 낮은 건 아니며, 실제 환급 조건을 명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-
법인 A사, 직원 출장용 K5 장기렌트 계약
월 렌트료 : 60만원 (부가세 별도)
연 720만원 비용 처리 가능 → 세율 22% 기준 약 158만원 법인세 절감 효과
-
개인 B씨, 동일 차량 개인 장기렌트
월 렌트료 : 60만원 (부가세 별도)
세금 혜택 없음, 비용 절감 없음 → 관리 편의성은 확보 가능

-
세금계산서 발급 가능 여부
장기렌트는 리스와 달리 전체 비용(렌트료) + 부가세 전액 손비 처리 가능
감가상각과 같은 번거로운 회계처리가 불필요
운전자 유연성
직원 간 차량 공유 가능 (보험에서 ‘직원 누구나’ 조건 포함된 경우)
회계 간소화
차량 소유로 인한 자산 등록 X → 자산 처분, 시세 반영 등의 회계 이슈 없음
차량 교체 유연성
3~4년 단위로 신차 운영 가능 → 유지관리 부담 없음

-
초기 비용 최소화
보증금/선납금 없이 월 렌트료만 납부로 신차 이용 가능
개인 보험 이력과 분리
렌트차량 사고 시 보험 이력이 본인 명의로 남지 않음 → 향후 보험료 인상 영향 없음
운용 편의성
보험, 정비 포함된 상품 선택 시 관리 부담 없이 차량 사용 가능

-
법인 명의 차량은 사적으로 사용 시 세무상 이슈 발생 가능
업무용 사용 증빙이 필요할 수 있으며, 업무 외 사용은 급여 또는 상여로 간주될 수 있음
-
개인은 비용처리 불가하지만, 정비 포함 옵션, 보험 부담 없는 구조로 사용 편의성 확보 가능